http://blog.naver.com/naviguer/253006
계기판 종류
LCD: Liquid Crystal Display(액정 표시장치)
종류:

<1세대> 검은 바탕에 흰색 문자. COS LCD(Calculator On Substrate LCD)라고함.(기판 상태가 안좋아서 잘 보이질
않으나, 유심히 보면 59.75...라고 써있다^^;)

<2세대> 노랑 표시기에 짙은 회색 문자. 당시 처음 밝은 바탕의 LCD가 나왔을 때
액정표시기는 자외선에 약했다고 한다. 그래서 자외선 차단용으로 노랑필터가
있는거라 하는데, 사실무근이란 의견도 있다...

<3세대> 밝은 회색 바탕에 짙은 회색 문자. 자외선 차단필터가 더이상 필요가 없다.

LED: Light Emitting Diode(발광소자)빨간색.(휴대용 계산기에는 녹색이나 다른 색이 적용된 적이 없다. 이유는:녹색 LED는 액정 이후에 등장했기 때문에 계산대등의 큰 기기에만 적용되었다고 한다.) LED는 아주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아주 특이한 점이있다.
입체적환상에 빠지게한다. 그 이유는 : LED는 사실 보는 것 보다 훨씬 작은 발광소자를
사용한다. 그래서 크게 보이라고 LED앞에는 볼록렌즈로 처리가 되어있다. 고로
LED와 렌즈와의 거리로 인해 parallax(시차)가 생겨서 왼쪽눈과 오른쪽이 보는 숫자의
모양이 약간 다르다. 이런 차이점을 뇌에서는 입체저인 것 처럼 인식되게 만든다.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형광발광기판)녹색발광.LED 이후에 등장했다.
연산의 방식과 정확도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별로 눈여겨 보지 않는 기능들이 있는데, 그건 +-×÷를 벗어나는연산을 수행하는 경우가 드물어서이다.
계산기에서 연산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다.
Algebraic(대수식), Arithmetic(산수식), RPN.
예) 2+3=5 와 7-1=6 를 치는 방법:
대수식 : <2+3= > 와 <7-1= >이다. 적는대로의 연산이다.
산수식 : <2+3+ >와 <7+1- >이다. <=>이 필요없다.
RPN : <2 enter 3 +>와<7enter1 ->이곳에서도 <=>이 필요없다.
그런데, 기호 기입에 있어서는 대수식 연산 방식에서도
RPN처럼 선 숫자 후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RPN을 싫어하는 사람의 경우에도 어쩔 수 없이 후 기호를 사용하게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진다.
물론 80년대 부터는 순수 대수식으로 입력하는 것이 일반화되기 시작했지만...
___ ___
예) ∨ 2 (루트2) 좀싸거나 오래된 계산기에서는 2를 먼저기입하고 ∨ 루트를
기입한다.
공학용계산기의 특징일반적으로 계산기의 연산은 적는 대로이다.예를 들어, <2+3×4= 20>이 된다 2더하기3을 먼저 연산하고 다음에 4를 곱한다.그러나 어렸을 적 수학시간에 배운걸 더듬어 보면, 연산식에서 가로가 없을 경우에는×÷를 먼저 해야 한다고 배웠다.그러니까 위의 <2+3×4=> 는 <(2+3)×4=> 이 아니고 <2+(3×4)=> 인 것이다.공학용계산기는 연산이 끝날 때 까지 모든 걸(거의 모든 것) 기억해두었다가 위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연산을 한다. 그래서 답은 14이다.
또 결정적이 차이는 유리수의 인식이다.
예를 들어 공학용 계산기에서 <1÷3×3=>를 하면 물론 답은 1 이다. 그러나
일반 계산기에서의 답은 0.9999999 이다. 그건 <1÷3×3=>을 실행했을때
1÷3을 1/3인 분수로 인식하지 못하고 0.3333333정도로만 인식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공학용계산기가 조금은 더 똑똑하다(?). 물론 초창기에는 공학용계산기도 이런 우선순위나 유리수를 인식하지 못했다.
RPN(Reverse Polish Notation) 연산식위의 일반적인 연산식은 Algebraic (대수) 연산식이라고 한다.

실제적으로 표기하는 대로 계산기를 두둘기면 된다.
(거의) 그런데 RPN은 그렇지가 않다. RPN은 소위 거꿀로 하는 연산식이다.엄밀히 말하자면 거꿀로는 아니지만 조금은 더 유심히 봐야한다.일반적으로는 5+7=12 이렇게 쉽게 쓰면 되지만RPN에서는 < 5 enter 7 +>이다. (이콜 표시가 필요없다.) 해설을 하자면: '5와 7사이에 더하기를 넣어라' 라는 말이다. 그럼 이콜 표시 필요없이 답이 나온다. enter는 두 숫자를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일반계산기에 없는 기능이다.먼저 숫자를 정하고 그 사이에 연산표시를 넣는 방식이다. 이것이 RPN의 매력이자 헷갈리는 부분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여기까지는 이해를 한다, 그러나 연산기호가 하나만 더 추가되면 혼돈을 하기 시작 한다. 그렇다고 도중하차 하면 독자의 탐구력이의심되오니 끝까지 보기 바란다.5+7-4=8 을 RPN으로는 <5 enter 7+4-> 이다.위의 첫번째 예로 본다면 <5 enter 7+enter 4-> 가 맞지 않나? 라고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그도 맞는 것이다.그러나 RPN의 취지는 입력할 항목을 최저화하는데 있다.그래서 <5 enter 7+>에서 이미 답이 구해졌기 때문에, 4를 쳐도 124는 되지 않고 12를 쓰고 4는 분리되는 숫자로 인식한다. 그래서 enter 칠 필요가 없다. 익숙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수수께끼에 불과한 방법일수도 있다.
정확도
정확도는 계산기 마다 차이가 있다. 그 이유는 연산칩의 차이이다.
공학용 계산기에서 정확도를 실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식은 :
(asin(acos(atan(tan(cos(sin 9))))))인데
주로 9 sin cos tan atan acos asin로 기입합니다.
답은 9. 그래서 9에 가까울수록 정확한 것이다.
예) 계산기 별 결과(보유하고 있는 계산기중)
(참고로 : 사용하고 있는 컴에서 MS제공 계산기(버젼 5.1)는 : 9)
Calculator forensics: 계산기 표시장치는 제한된 숫자만 표시 할 수 있다.
그러나 계산기 내부에는 더 긴 답을 갖고 있을 수가 있다. 빨간 수치는 계산기에서
표시는 하지 않지만 찾을 수 있는 숨은 치수이다.(방식은 아래참조)
CASIO fx-21 : 9.32631
CASIO fx-29 : 14.462524 (arc COS 에서 오차가 급겹히 벌어짐)
CASIO FX-570S : 9.000015685
CASIO FX-17 : 9.32631
CASIO FX-101 : 9.785883
CASIO FX-39 : 8.9911608
CASIO fx-310 : 9.0000157179
CASIO fx-510 : 9.000015718
(9.0000157179)
CANON card F-55S : 8.9789682
CANON F-300P : 9.00002785901
HP-95LX : 9.000000000029575
HP-19BII : 8.99999864267
SAMSUNG L1070S : 8.99999863704
SAMSUNG Secal L1011S : 9.0001495952
SHARP EL-5000 : 9.017904101 (serial no.: 65115069)
9.034535368 (serial no.: 65109439)
** SHARP EL-506V : 8.99998762105
SHARP EL-512S : 8.99999863704
SHARP EL-5030 : 8.999981534
SHARP EL-5100S : 8.99998153428
SHARP EL-5103S : 8.99998153428
SHARP EL-5150 : 8.99998153428
SHARP EL-9000 : 8.99998153428
SHARP PC-1402 : 8.99998153428
TI-30 : 9.177087103 (위의 LED사진 참조)
TI-30X IIB : 9.000003512065
TI-59 : 9.000004661314
숨은 치수 찾기: 예) SHARP PC-1402 는 최대 10자리 수의 수치를 표시할수 밖에 없다.
위의 8.999981534란 답이 나왔을 때, 0에 가까운 치수를 만드는게 핵심이다.
1. 8.999981534 - 8.99998 = 0.000001534 가 된다.
2. 나온 0.000001534에 충분한 10단위 치수를 곱해준다.
3. 0.000001534 * 1000000 = 1.53428 란 답이 나왔다.
4. 끝의 28은 아까 8.999981534가 표시되었을 때 보지 못했던 부분에 해당한다.
찾은 28을 뒤에 붙이면 : 8.99998153428
그러나 모든 계산기가 숨은 치수가 있는 건 아니다!
** : test only
태그저장
댓글 없음:
댓글 쓰기